1958년, 실험실 원숭이로 시작된 원숭이두창 <br /> <br />1958년 덴마크의 한 실험실 원숭이에게서 처음 확인 된 원숭이두창. 천연두와 유사한 증상을 보여 원숭이두창이란 이름이 붙었는데요. <br /> <br />1970년 처음 콩고의 한 어린이가 감염된 사실이 확인된 이후, 서부와 중앙아프리카 지역의 풍토병으로 자리 잡았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, 원숭이두창이 50여 년 만에 대륙을 넘어 확산하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7일 영국에서 감염사례가 나온 뒤, 유럽과 미주, 중동, 호주 등에서 잇따라 확진자가 발생한 겁니다. <br /> <br />국가별로는 영국이 524건으로 가장 많고, 스페인 313건, 독일 263건, 캐나다 159건 등입니다. <br /> <br />이름은 원숭이 두창이지만, 원숭이가 옮기는 건 아니고요. 주로 쥐와 같은 설치류가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주범으로 추정됩니다. <br /> <br />때문에 그간 아프리카 밖에서는 원숭이두창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는데요. <br /> <br />올해 전례 없는 일이 발생한 겁니다. <br /> <br />첫 발병 사례는 나이지리아를 방문했던 영국인이었는데요. <br /> <br />당시 확인된 확진자 중 4명이 모두 동성 간에 성접촉이 있는 남성으로 파악되면서 영국 당국이 남성 동성애자 그룹에 '주의보'를 내리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원숭이두창은 동성애와 큰 관련이 없다는 게 학계 중론입니다. <br /> <br />불필요한 혐오와 공포를 키우는 건 자제해야 한다는 유엔에이즈계획의 지적도 있었죠. <br /> <br />그럼 증상과 치명률을 알아볼까요? <br /> <br />천연두와 마찬가지로 두통과 함께 전신에 수포성 발진이 생기고, 무기력감과 발열, 림프절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. <br /> <br />이런 증상은 약 2주~4주간 지속되고, 치명률은 최근 WHO 집계 기준으로 3~6% 내외입니다. <br /> <br />참고로 전 세계 코로나 19 치명률이 1%대니까, 치명률로 볼 땐 더 높은 편입니다. <br /> <br />우리 정부는 지난달부터 미국, 유럽 등지에서 원숭이두창 감염 사례가 증가하자 원숭이두창을 코로나19와 같은 2급 법정감염병으로 지정했는데요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, 오늘 국내에서 두 명의 의심 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는 2016년 원숭이두창 검사 체계를 구축했는데요, <br /> <br />현재 질병관리청에서 PCR검사를 통해 감염 여부 진단이 가능합니다. <br /> <br />그렇다면 '격리'는 어느 정도 해야할까요? <br /> <br />만약 확진될 경우, 격리입원치료를 받게 되는데요. <br /> <br />감염력이 소실될 때까지, 그러니까 수포가 올라온 곳의 가피, 딱지가 떨어질 때까지 격리입원을 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박석원 (ancpark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20622160201833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